60년에 이르는 경력과 전 감독 작품을 철저히 해설한 토미노 유시유키의 이야기
영상과 방대한 제작 자료를 바탕으로 그 사상을 끌어내어 새로운 토미노 유시유키의 모습을 드러내는 획기적인 평론, 드디어 출간!
『기동전사 건담』『전설의 거신 이데온』『G의 레콘기스타』... 왜 그 작품에는 강렬한 개성이 깃들어 있는 것일까?
일본을 대표하는 애니메이션 감독의 창작의 수수께끼를 풀어낸다!
『철완 아톰』에서의 경험/스토리주의를 둘러싼 딜레마/「애니메이션에도 이 정도는 할 수 있구나」/방향성의 컨트롤/『기동전사 건담』제1화의 무엇이 대단한가/진행되는 상황 속으로/캐릭터를 만드는 대사/애니메이션은 「영화」여야 한다/『이데온』에서 잡은 테마/자아와 과학기술과 세계/왜 『역습의 샤아』가 대표작인가/「뿌리 없는 풀」의 한계와 실패/신체 축제와 대지...
【목차】
서론 「애니메이션 감독」으로서의 토미노 유시요키를 말하고 싶다
제1장 토미노 유시유키 개론――「애니메이션 감독」이란 무엇인가
제2장 연출가・ 토미노 유시유키 의 탄생――출발점으로서의 『철완 아톰』
COLUMN 토미노 유시유키 감독 작품 전 해설 1 1968~1979
제3장 확립되어 가는 이야기 방식――『무적초인 잔봇3』까지
제4장 하나의 도달점――『기동전사 건담』 제1화
제5장 뉴타입이란 무엇인가――희곡으로서의 『기동전사 건담』
COLUMN 토미노 유시유키 감독 작품 전 해설 2 1980~1988
제6장 과학기술과 인간과 세계――『전설의 거신 이데온』에서 획득한 테마 제7장 변주되는 주제――『성전사 단바인』에서 『기동전사 Z 건담』으로 제8장 연출과 희곡의 융합――상세 해설 『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』
COLUMN 토미노 유시유키 감독 작품 전 해설 3 1991~2022
제9장 토미노 감독 작품 전 해설 4 2023~2042
제9장 운동과 인간성――『기동전사 건담 F91』이후 연출술 제10장 잃어버린 말과 연결하는 신체――『바다의 트리톤』에서 『신역 Z 건담』으로 제11장 대전환, 대지로――『G의 레콘기스타』로 가는 길 제12장 결론 인명 색인 주요 감독 작품 주요 스태프 목록 |